인지적 프롬프팅 : 나는 왜 챗GPT를 백과사전으로만 썼을까, 인지적 프롬프팅으로 질문하기

Ep9은 롱블랙이 운영했던 테크 미디어입니다. 꼭 알아야 할 기술 지식과 업계의 이면을 쉽고 재미있게 다루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롱블랙 프렌즈 L 

다들 챗GPTChat-GPT 잘 써?

고백하자면, 나는 몇 번 쓰고 그만뒀어. 뭘 물어도 백과사전 같은 답만 내놨거든. 그렇게 챗GPT와 멀어졌다가, 우연히 이런 이야기를 들었어.

“챗GPT-4에 팁을 20만원 준다고 하면 답변의 길이가 10% 늘어난다”

상상 못한 주장, 바로 실험했어. “글 잘 쓰는 법을 알려달라”면서 두 번째 질문 때 팁을 20만원 준다고 했거든? 처음엔 7가지, 다음엔 10가지 방법을 알려주더라? 이렇게 덧붙이면서 말야.

“여기서는 금전적 거래를 할 수 없으니, 제가 제공할 수 있는 글쓰기 팁에 집중해 보겠습니다. 글을 잘 쓰기 위한 몇 가지 추가적인 조언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감탄했어. 이런 요령이 있었다니. 더 찾아보니, 오픈AI 기술 담당자도 이런 노하우를 알려준 적이 있어. 챗GPT와 대화할 때, 웃는 얼굴:-)을 넣으면 답변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1~2%라도 더 나아진다는 거야!

“챗GPT는 인간이 실제로 주고받는 말뭉치corpus로 훈련을 했어요. 언어 모델이 사람처럼 생각하는 흐름을 배웠죠. 예를 들어 ‘밖에서 한숨 돌리고 와서 일하자’고 하면 일의 능률이 올라가잖아요? 챗GPT에도 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_로건 킬패트릭Logan Kilpatrick 오픈AI 개발 협력 담당 이사, 2024년 2월 Lenny's Podcast에서

그렇다면 AI가 감정을 느낀다는 걸까?

그렇다고 단정할 수는 없어. 챗GPT는 인간의 말뭉치를 익힌 거잖아? 단어로 치면 3000억 개 이상*이야.
*무료로 사용 가능한 챗GPT-3.5 기준. 2021년 말까지의 정보를 반영한다. 오픈AI는 2023년 초에 유료 모델 챗GPT-4를 공개하면서 이 모델의 학습량은 밝히지 않았다.

챗GPT는 감정이 아닌 ‘인간의 감정이 담긴 말의 맥락’을 학습한 거야. 사람들의 대화를 생각해 봐. 누군가 더 간곡하게 부탁하면, 자연히 답변도 더 상세하고 친절해지잖아. 우리가 맥락을 던지면 챗GPT도 그에 맞게 반응하는 거고. 이걸 우리가 “사람 같다”고 느끼는 것뿐.

생성형 AI를 지혜롭게 다루는 법. 이걸 듣기 위해 김창준 대표와 곽근봉 원지랩스 대표를 함께 만났어. 김 대표는 생각의 구조를 짜는 법을 알려줬고, 곽 대표는 챗GPT를 어떻게 쓸 수 있을지 사례를 들려줬지. 지금부터 이들과 나눈 대화를 정리할게.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전체 노트 보러가기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